본문 바로가기

이슈분석

돌파감염이란? (돌파감염의 위험성 정리)

728x90


갑자기 돌파감염의 시대인가?

■정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돌파감염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돌파감염이란, 백신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감염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는데,
대체 왜 백신을 맞았는데도 불구하고
돌파감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돌파감염은 원래 낮은확률로 존재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하면
"예방율"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화이자,모더나는 95%
아스트라제네카는 93%
딱봐도 100%가 아니다.

이 말인 즉슨 임상시험 결과
백신을 맞은 사람들 중
5%~7%들은 백신을
맞아도
감염이 됐다는 이야기다.

아주 자연적인 돌파감염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외 돌파감염이 생기는 이유

자연적인 것 말고 이유를 찾는다면,
약 2가지가 있다.

01. 바이러스 변이(드물다)


이 경우에는 상당히 심각한데, 바이러스 변이가 일어나서 "백신이 안먹힌다"는 소리와 같다.
이럴경우에는 백신을 다시 만들어야하는 불상사가 생기므로 상당한 인명손실/경제적손실을 초래한다.

변이로 일어난 돌파감염은 상당히 위험할 수 있으나, 현재 백신들이 변이바이러스에 "칵테일접종"[각주:1]을 했을때 90%가 넘는 예방율을 보이고 있다.

즉, 변이 코로나 걸려도 백신 접종하면 어느정도 예방이 된다는 소리.



02. 미약한 면역체계 발동


혈전 부작용 때문에,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을 먹고 맞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대해 의사들은 이를 조금 우려하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었다.

왜냐하면, 아스피린 자체가 "염증반응"을 줄이기 때문에, 백신이 들어왔을때 면역체계가 발동을 하지않아, 항체생성이 아주 적게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예방효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백신맞고 항체가 많이 생성되지 않은 사람들은 효과가 없을 위험이 있다. 고로 이는 돌파감염을 만든다.


■돌파감염은 얼마나 위험?


노인층에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에 걸리고 있는데, 사망자 통계를 보면 알겠지만 백신 접종 시작 후 노인들의 사망율이 크게 줄었다.
실제로 백신접종 후 코로나 확진자들은 경증 환자들이 대다수다.


결론만 정리하자면 돌파감염은 일어난다. 그러나, 백신을 맞으면, 돌파감염이 일어나도 치명율이 굉장히 감소한다.




백신 맞았다면 너무 무서워 하지말자.






  1. 1차 화이자 맞기+2차 아스트라제네카 맞기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