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분석

이란대통령 사망사태? 테러인가? 악천후인가? 사건 총정리 :: 국제사회 전망은?

728x90

 

중동전쟁의 서막인가?

이란 대통령이 사망했습니다.

헬기 잔해

 


 

 이란에 도대체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요? 이번 시간엔 1) 이란대통령의 사망원인 / 2) 이란대통령 사망 이전상황 / 3) 이란 대통령 사망 이후 각국 반응 / 4) 이란대통령 사망으로 인해 이후 어떤 전개가 벌어질지 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 사망 원인 :: 헬기 추락


붉은점이 사망장소

⊚ 악천후로 산에 헬기추락 탑승자 9명 전원 사망!

5월 19일 아제르바이잔 바로 아래, 이란 북서부 산악지대에 악천후를 만나 타고 있던 전원이 추락, 사망 하였습니다. 세상에... 당시 헬기 안에는 라이시(Ebrahim Raisi) 대통령호세인 아미돌라히안 외무장관, 말렉라마티 동아제르바이잔 주지사, 타브리즈시의 이맘 알리 알레하셈과 조종사, 경호원, 보안책임자 등 총 9명이 타고 있었다고 합니다.

 
 

 

 

 

02 . 사망 이전 상황


 

이란 대통령

 

⊚ '라이시' 대통령, 국가 원수 후계자 유망주였다.

 이란의 정치체계를 보면 대통령보다 높은 가장 최고의 위치인 '라흐바르'라는 국가원수 계급이 있습니다. 현재 라흐바르는 2대 라흐바르인 '알리 하메네이'라는 사람인데, 이 사람의 물러난 다음에 할 사람으로 1순위 유망주로 '라이시'대통령이 기대를 한몸에 받는 상황이었습니다. 
 

땜 완공을 축하합니다 버튼 빡!

⊚ 아제르바이잔 국경에서 사망하다.

 지도를 보면 추락위치가 수도(테헤란)과는 상당히 멀고 아제르바이잔 국경과 가까운데요. 그 이유는 이란-아제르바이잔이 협력하여 "호다 아프란 댐" 건설사업 완공식을 한 뒤 돌아오는 길에 변을 당했기 때문입니다. 

 
 

"7월에 선거를 실시합니다" 모하메르 모크베르 제1부통령 曰

 

⊚ 악천후? VS 이스라엘 테러? VS 권력암투 내부분열?

이란은 결국 7월에 대선을 다시 열 계획인데요. 현재 대통령이 죽은 이유로 3가지 설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이란 언론은 "악천후"로 보도하고 있지만 이스라엘-이란 전쟁중인만큼 "이스라엘의 테러"였다는 말도 나오고 있으며, "권력암투 내부분열"로 죽임을 당한것이 아니냐 하는 관측도 있습니다.

 
 

 

 

 

03 . 사망 이후 각국 반응


 

⊚ 이스라엘 반응 "내가 안했다","추모 못하는게 안타깝다"

 여기서 가장 사람들의 시선이 몰린곳이 바로 이스라엘인데요. 이란과 전쟁중인 이스라엘은 언론에 조심스럽게 자신들이 하지 않았다고 흘리고 있는 상황이고, 또 몇몇 이스라엘 언론은 '이란과 전쟁중이라 추모 못하는 상황이 안타깝다'는 반응을 하고 있습니다. 

⊚ 미국 "지켜보는중" &  중동,유럽국 "돕겠다"

 사고가 터지자 중동과 유럽국가는 돕겠다는 의사를 표명하고, 터키의 경우 드론까지 띄워서 수색을 지원하였습니다. 미국은 지켜보는 중이라 언급하며 대다수 국가들이 상황을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04 . 전망 :: 대혼란이 올까?


대통령의 시신을 발견하였다.

⊚  많은 이들이 우려하는 국가적 동요? 전쟁 격화?

현재 대통령의 시신이 발견되어 테헤란으로 이송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런 상황을 보고 중동 정세가 바뀔것이라고 대다수 민주화된 국가의 언론과 사람들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전망은 혼란은 없을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2대 라흐바르(국가원수) :: "알리 라메네이"

⊚  실세 '하메네이'가 살아있다...변화는 없을 것

 이란은 대통령은 통치자가 아니라 꼭두각시에 가깝습니다.  이란은 라흐바르(국가원수)가 실세이며, 법 위에서 맘대로 통치할 수 있는 사람으로, 사실상 독재 정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란의 시리아 대사관이 폭격을 받았을때,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을 명령한 것도 대통령이 아니라 현재 2대 라흐바흐인 '알리 하메네이'가 주도한 것입니다.
 

⊚  하메네이 독재자의 블랙기업은 건재하다.

하메네이는 언론통제와 통신,석유 등으로 블랙기업을 운영해 벌어들인 막대한 돈으로 금권정치와 독재정치를 함께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사람이 무너지지 않는 이상,  현재 기조에서 크게 변화가 있을 것 같진 않아 보입니다. 실제로 즉각적으로 부통령을 세우는 모습을 보면 상당히 능수능란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이란-이스라엘 전쟁이 끝날지도?

 이란과 이스라엘이 포격전을 벌이며, 겉으로 "전쟁"의 모습이지만, 무차별 민간인 타격까진 가지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스라엘이건, 이란이건 전쟁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번 대통령의 사망을 활용하여 이란-이스라엘 전쟁을 끝내버리는 핑계로 활용하지 않을까 감히 예측해봅니다.
 
 
 

폴란드의 사례가 떠오른다.

⊚  기승전 "블랙박스"

하지만 모든 것은 헬기 블랙박스가 나와야 알 것입니다. 과거 2010년 폴란드 카친스키 대통령 및 고위급 참모들이 모조리 쓸려가버린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로 96명 전원 사망했을때도 '미국이그랬다.''러시아가 그랬다' 수많은 음모론이 나왔지만, 차후에 블랙박스와 교신내용이 공개되며 "그저 안타까운 항공 사고"로 종결됐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란 언론 SNN의 보도에 따르면 헬리콥터 3대로 이루어진 편대가 비행을 했고 이중 2대는 정상적으로 도착했지만, 대통령이 탄 한 대가 사고를 당했다고 합니다. 뭔가 이상하죠?


함께 상황을 지켜보며, 이상 여러분들이 읽어보기 좋은 글을 추신으로 붙이며 마무리 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읽어 보기 좋은 글 

 
- 중동천일야화 :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네타냐후보다 하메네이가 더 불안하다 :: 조선일보

[新중동천일야화]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네타냐후보다 하메네이가 더 불안하다

新중동천일야화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네타냐후보다 하메네이가 더 불안하다

www.chosun.com

 

-이스라엘과 이란이 자제력을 보인 이유 :: 에너지경제

[이상호 칼럼] 이스라엘과 이란이 자제력을 보인 이유

이스라엘과 이란이 서로 보복 공격을 감행했다. 200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대한 이스라엘의 보복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이란의 대리 세력인 레바논의 헤즈..

m.ekn.kr

 

- [국제칼럼] 이란은 이,팔 분쟁에 개입할까? :: 경향신문

[국제칼럼] 이란은 이·팔 분쟁에 개입할까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2주를 넘기고 있다. 기습적인 공격을 감행한 하마스의 배후에는 이란과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www.khan.co.kr